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4

세상에서 가장 힘든 말 ; "나 그거 모르는데..." 마케팅을 업으로 살아온 사람으로서 한 제품의 브랜드는 소비자와 만나는 첫번째 접점이므로 제품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필수 내용이 들어가 있어야 한다. 제품을 만들고 파는 입장에서는 많은 내용을 담고 싶으나 사는 입장에서는 그렇게 관심이 많지 않다. 함축적이고 기억하기 쉬운 브랜드명을 만들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허다하다. “소비자들이 기억하기 쉽도록 이름을 ‘청정원 양조간장’으로 심플하게 정했습니다.” 고개를 끄덕이던 임원이 한 마디 거든다. “깔끔하네. 근데 ‘100% 자연숙성’이라는 것도 강조하면 좋지 않을까?” 결재 라인을 밟을 때마다 단어가 하나씩 늘어난다. 결국 최종 상품명은, ‘청정원 햇살담은 11년 이상 씨간장 숙성공법 양조간장 골드’  안재석(한국경제 기자)은 대기업의 디지털 전략이 실.. 2024. 4. 30.
원칙의 리더십 : 레이건 정부와 포르쉐 사람들에게는 나름대로의 원칙이 있다. 어떤 사람이 지키려는 원칙은 바로 그 사람이 살아가는 모습으로 직결된다. 하지만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신용을 지킨다, 남을 해치지 않는다 등과 같은 소박한 원칙도 실제로 지키면서 살기는 쉽지 않다.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갖는 사람들은 대개 삶에 대한 확고한 원칙이 있다. 조직도 마찬가지이다.  어떤 조직이나 나름의 원칙이 있고, 이 원칙은 바로 그 조직의 모습이 된다. 어떤 조직에나 원칙이 있지만 실제 적용은 별개의 문제이다. 원칙을 단순한 홍보와 대중 조작의 수단으로 이용만 하는 임기응변에 능한 조직이 있고, 원칙을 보편적으로 적용하면서 발전시키는 합리적인 조직이 있다. 원칙은 언제나 지켜져야 하지만 위기 상황일수록 더욱 중요하다. 위기일수록 원칙을 지켜라. 위기를.. 2024. 4. 25.
부패는 혁명을 부른다 : 유럽의 종교개혁 유럽의 종교개혁 #기독교 #예수 #콘스탄티누스 #밀라노칙령  #니케아공의회 #아타나시우스파 #아리우스파 #무함마드 #이슬람  #그리스정교 #동방정교 #로마카톨릭 #우상숭배금지 #마르틴루터 #면벌부 #면죄부 #95개논제 #쟝칼뱅 #칼뱅주의 #예정론 #막스베버 #프로테스탄트윤리와자본주의정신 #위그노 #낭트칙령 #퐁텐블로칙령 #헨리8세 #캐서린 #엔불린  #영국국교회 #엘리자베스1세 #에드워드6세 #청교도 #자본주의 유럽은 기독교가 압도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사회이다. 하지만 기독교는 이슬람과 유대교와 더불어 같은 뿌리를 두고 있는 유일신 종교로 유럽에서 뿌리내리는 데에 많은 아픔이 있었다.  기독교가 생겨난 것은 예수가 기원전후 태어나면서였다. 예수는 그가 설파한 평등사상으로 민중들에게는 대단한.. 2024. 4. 23.
독립을 위해서는 ○○이 있어야한다고 믿었던 도산 안창호 선생 도산 안창호는 조선이 외세에 한창 뜯김을 당하고 있을 때인 1878년 평안남도 강서에서 태어났다. 그는 몰락한 양반 가문에서 아버지를 어린 나이에 여의고 할아버지 손에서 자랐다. 그는 어려서부터 조숙해서 서당에서 사귄 연상의 친구 필대은과 시국에 관해 토론하고 다녔다고 한다. 1894년 청일전쟁으로 평양이 파괴되자 동학농민운동의 자주적 활동을 보고 구국의 대열에 합류하고자 경성부로 떠나게 되었는데 그때 그의 나이 16세였다. 그는 1902년 이혜련과 결혼 후 곧바로 미국으로 간다. 미국으로 가는 도중에 망망대해 가운데 우뚝 솟은 하와이 섬을 보고 매료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호를 도산(島山)으로 지었다. 미국에 가족들을 남겨두고 안창호는 구국 활동으로 상해, 동경, 경성, 평양 등지를 돌아다녔다. 그.. 2024. 4. 18.
킹 세종의 남다른 HR 활용 능력 #세종 #리더십 #장영실 #황희 #집현 # 재행연소자 # 사가독서제 조선의 네 번째 왕 세종은 조선의 최전성기를 구가한 최고 성군으로 추앙받고 있다. 세종은 개인적으로도 매우 뛰어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함께하는’ 정치 리더십까지 발휘했던 인물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백성들에게까지 의견을 묻고 적재적소의 인재를 등용하고 활용하는 역량을 발휘했다. 1420년에는 아예 체계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시스템인 집현전을 설치했다. 인재를 최대한 양성하고 활용을 해서 설정한 목표들을 완성해 나갔던 세종의 모습은 현재의 정치 체계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영에도 많은 귀감을 준다. 그의 인재 활용의 노하우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세종 시대에 과학적 발전을 이룬 중심에 장영실이 있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아는 사실이다.. 2024. 4. 17.
동학의 창시, 1차 봉기, 2차 봉기 1894년은 조선 후기 근대화 시점에 많은 일들이 일어난 해이며 민중은 더없이 피곤한 한 해였을 것이다. 시험에도 많이 나오는 동학 농민 혁명, 청일전쟁, 갑오경장이 모두 이 해에 일어났다. 이번에는 동학 농민 혁명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동학의 창시 동학은 1860년 최제우가 경주에서 창시한다. 당시 조선은 개방의 물결을 타고 서양 문물이 한창 유입되었었는데 그중의 하나가 천주교였다. 천주교라는 말이 없어 사람들은 서양에서 온 것이라 해서 서학이라 불렀다. 그에 반해 최제우는 가르침의 내용은 같은데 조선에서 생겨난 것이라 하여 서학의 상대되는 개념으로 동학이라 불렀다. 최제우는 경주 출신의 몰락한 양반의 자손이었는데 동굴에서 깨달음을 얻고 하늘님의 계시를 받아 세상 사람을 교화하기 시작했다. 후천개벽.. 2024. 4. 11.
반응형